본문 바로가기

영화

자료 / 4인대화 단독컷 구성 아래의 장면은 Hanna (2011, 영국)에서 가져온 것으로, 씬에는 총 5인이 있지만 실제 대화는 4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4인대화인 경우 단순히 두사람씩 묶어 2인대화처럼, 또는 1대다 대화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장면의 경우 4인대화임에도 인물들의 단독컷으로 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카메라의 위치에 주목할 것. 더보기
리뷰 / 염력 (2018, 한국) 리뷰 일단 시나리오는 개연성과 아다리만 보면 아주 훌륭한 시나리오다. 정말 씬 정리하면서 이렇게 쉽게 쉽게 필요한 다음 씬이 탁탁 나오는 시나리오가 없었다. 배우들도 드라마에 어울리는 수준의 연기를 보여주고 있으며 자잘한 디테일도 잘 채워져 있다. 그리고 연출도 좋아서 필요한 컷트가 딱딱 나와 주고 쓸데없는 컷도 없이 아주 잘 짜여져 있다. 기술적으로도 미술, 촬영도 잘 해줬고, 특히 녹음이 대사 뭉개지는 곳 없이 아주 좋았다. 음악이 좀 마음에 안드는데 이것도 뭔가 잘못했다는게 아니라 고리타분하다고 해야할까? 여튼 요즘 감각에 좀 쳐지는 듯 하지만 그리 큰 문제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잘 안된 이유는, (하... 얘기가 어렵네) 감독의 정서가 문제인게 아닐까 싶다. 영화에 보이는 공상과 환.. 더보기
리뷰 / 독전 (2018, 한국) 리뷰 일단 영화는 그저 그렇다. 다행히도 감독이 기본적으로 컷트는 짤 줄 아는것 같다. (그래도 모르지 뭐 촬영감독이 짰을지도 마녀보고 깜짝 놀랐다) 촬영도 괜찮게 하는 친구랑 했다. 미술도 이 정도면 기본은 했다. 편집은 고생했다. 그리고 녹음은.. 이건 한국영화 전반의 문제니까 그냥 넘어가자. 내 생각에 영화가 그저 그렇게 보이는건, 첫째. 지나치게 많은 회상, 교차씬들이다. 아무리 범죄 스릴러물이라 해도 너무 많다. 그러다보니까 타이밍이 안맞는 부분도 생기고 결국 영화가 지저분해졌다. 둘째. 좀 쳐지는 시나리오. 사건과 인물만 있고 문화적인 배경이 없다. 딱 하나 있긴했다. 브라이언의 기독교 배경 그런데 잘 살리질 못했다. 나머지 부분에서 경찰문화, 중독자문화, 인물들의 개인적 취향 이런걸 볼 수 있는 .. 더보기
리뷰 / The Shape of Water 사랑의 모양 (2017, 미국) 리뷰 좀 고전적인 정석같은 영화를 보고 싶어 시작했는데 씬이 너무 많아서 지쳐버렸다. 190씬이라니... 뭐 상을 많이 받은 작품인만큼 좋은 영화인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마냥 달콤하지는 않고 영화 초반에 나오는 것처럼 불이 난 초콜릿 공장의 냄새라고 할까 달면서도 쓴 구석이 있는 그런 영화같다. SF나 Fantasy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대체로 만족스러웠다. 대사가 영어이기 때문에 잘 알아듣지 못해도 시나리오에 나오는 대사들이 직간접적으로 인물을 잘 표현하고 있는걸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상황으로 심리를 반영하는것도 세련되게 느껴진다. 물론 여기엔 훌륭한 연기가 뒷받침되어서 그런거겠지. 한편으론 고전극? 정극에 가까운 영화에는 전형적인 캐릭터와 어떤 상황을 설명하는 관습에 가까운 대사패턴이 있다. 특히 6, .. 더보기
리뷰 / Hereditary 유전 (2018, 미국) 리뷰 카메라 워크가 훌륭하고, 배우들의 연기도 아주 좋았다. 기술적으론 역시나 별로 깔게 없다. 특히 공포스런 분위기와 엑센트를 만들어내는 사운드가 대단히 좋았다. 음악은 딱히 어떤 곡이라기보다 분위기 위주여서, 기억에 남는 멜로디가 있거나, 씬을 인상깊게 만들어주진 못했지만, 영화를 끌어가는 큰 축이었음이 분명하다. 제일 마음에 안드는건 제목이다. ‘유전’은 일반적으로 의학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면서 발생하는 사건이 애니와 찰리에게 유전된 정신병으로 발생한게 아닐까 추측했는데, 악마의 짓이라는 것으로 결론이 나면서 도리어 실망감만 불러왔다. (이것 때문에 후반에 애니가 벽에 붙어 다니고 하늘을 날아도 악마의 짓이라고 하니 깔수가 없다. 하) CSI를 보고 있는 줄 알았는데 슈퍼내추럴이네? 이런 느.. 더보기
리뷰 / 마녀 (2018, 한국) 리뷰 에휴 다 봤다. 이 영화는 '신세계'와 같은 감독이 찍었다곤 도저히 믿을수 없을 정도로 못찍은 영화다. 가장 놀라운 점은 박훈정 본인의 시나리오임에도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도 형편없다는 점이다. 감독과 각본가가 동일한데 신세계와 달리 이런 흉작을 만들었다는 것은 스텝의 차이가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이며, 그런고로 신세계는 좋은 스텝들의 작업에 박훈정이 숫가락 얹었던 영화라고 생각된다.+ 영화는 형편없다. 그래도 이 영화가 그런대로 굴러간건, 1. 대중적인 아이템 - 미국에서 초능력과 관련된 미디어가 대량생산되어 나오고 있다. 우리도 하나쯤 있으면. (염력이 좀 아쉽네. 그러게 잘 좀 하지) 2. 여주인공 빨 - 신선하고 이쁘고 귀엽고 연기 나쁘지 않다. 로 보인다. 배우들에 대해서는 뭐라 하고 싶지 않지만.. 더보기